반응형

오늘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너무 유명한 소크라테스의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고대 아테네에서 태어나 일생동안 철학과 그에 관련된 토론으로 

일관하여 서양의 철학과 관련된 첫 번째의 인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소크라테스 생애 

 소크라테스는 조각가였던 아버지와 산파였던 어머니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성장초기에 아버지의 일을 도우며 석공기술을 배웠고, 천문학, 철학, 기하학 등도 함께 

공부하였습니다. 40세까지는 세번에 걸쳤던 전쟁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자연의 철학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그런 기계적인 세계관에 불만을 품기도 했는데요. 

 아테네는 몰락기였고, 보수적이면서 귀족적이고 비판적인 정신시계가 가득한 시대였습니다. 

 이런 시대에서 객관적이면서 타당한 목적이 있는 철학을 수립하려고 노력했습니다. 

 

 2. 소크라테스의 사상 

 1) 영혼중심적 사고 

 소크라테스는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자였습니다. 육체는 객관적으로는 존재하고 있지만

그냥 껍데기일 뿐이며 지식은 영혼 안에 내재되어 있는 개념이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영혼은

불멸하기에 인간은 영혼을 소유했다 하더라도 진리를 통찰하는 데에는 방해당한다고 판단

하였습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이성적인 사고로 기초했던 산파술로 여러 가지 오류를 

잡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런 신념들에 기초하여 죽음에 대한 정의를 영혼이 

육체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 죽음이라는 단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2) 도덕론

 소크라시대가 생존했던 시대에서는 전반적으로 아테네의 민주주의가 부패했던 때였고, 

이 때문에 개인적인 윤리의 타락이 극심하였던 시대였습니다. 그는 여러 가지 악덕은 무지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덕은 이성적인 사고에서 생겨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성이 가진 부덕함이라는 개념 그 자체를 비판하였습니다. 악덕한 자들은 지식이 부족한 상태라고 

보았고, 이런 의미가운데에서 냉소적인 이성은 성립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러한 그의 지행합일론은 그가 도덕적,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게 하는데 한몫을 하였습니다.

 일상생활에서도 그는 절제를 추구하였고, 자식의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무료로 가르치기도 

하였습니다. 그는 선을 중시하였고 그리하여 토론과정에서도 그와 관련된 많은 질문을 

남겼습니다. 이런 관점들은 스토아학파에 의하여 그의 사후에 계승되었습니다. 

 3) 질문방법

 소크라테스는 구두의 언어 형식으로 질문을 던지는 그 자체에 의미를 두었습니다. 

 그의 구두언어는 지의 매개 정신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하는 언어의 운송수단으로 보았습니다.

 그에게 구두언어란 현대적 관점에서 보고 있는 단순한 규칙이 있는 음파의 개념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발화자의 사유를 어떤 오류도 없이 내보내고, 듣는 사람의 사유에 영향을 주게 되는 

절대적인 것으로 보고 있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다양한 사람과 토론하고 있었는데 제자들이 

그에게 질문을 던지면 즉각적으로 답을 주지 않고 거꾸로 다시 질문을 던지곤 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가진 질문에 확신할 수 없는 것이 있다면 그에 대해 끝없이 질문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진리에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4) 변론과 크리톤

 소크라테스는 "변론"에서 법정에서 철학을 포기하게 된다면 석방을 해준다는 제안을 받더라도

본인이 철학을 하게 되는 이유에 대하여 하늘이 내린 명령이기에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말하였다. 

 이 외에도 소크라테스는 그 이상의 철학적인 원칙과 신념에 기초하였고 그를 통해 의사결정을 

한 여러 가지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는 본인에게 독배를 내렸던 

법률을 보고 본인의 국외추방을 제의하지 않았고, 소극적 절차적 정당성에 대해 뒤늦게 훼손할 

수는 없다며 크리톤에게 말한 바 있습니다.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는 평소에 가진 이성적인

논법을 구사하지 않았고, 정서적이며 감성적인 모습으로 설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것을 모두 

파악하기에는 힘든 책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습니다. 

 

3. 산파술

 소크라테스는 아무런 저서도 남기지 않았기에 확실하게 사상을 알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플라톤의 저서에서 언급한 것을 보면 "만인 중에 가장 현명한 사람은 소크라테스이다" 

라고 말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 무지하다는 것을 자처했던 소크라테스는 신이 한 신탁에 대해 사실인지 확인하고 싶었고

여러 군데에 현명한 사람들을 찾아다녔습니다. 

또한 제논의 변증법을 활용하였고, 잘못된 판단들의 모순을 받아들이고 옳게 하는 판단으로 

유도하였는데 이것을 바로 산파술이라고 합니다. 그는 합리주의자였고, 초경험적으로 가지고 있는

다이몬의 소리 또한 경청하였습니다. 

 소크라테스는 덕이 인간에게 내재하고 있다고 믿었고, 사람들에게 이것을 깨닫게 하기 위해 

많은 계층의 사람들에게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그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무지함을 깨닫게 

해주었고 윤리상의 개념을 알게 하기 위해 설교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때문에 젊은이들을 타락하게 되고 신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의견 때문에

고발을 당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약을 마시게 되었습니다. 

 탁월한 지적능력과 도덕적인 성격으로 철학자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을 감화시켰기에 

인류의 최대 교사로 불리고 있습니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본받은 많은 후배들을 양성하였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철학자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