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대철학에서 경험론과 합리론이 나타나게 되었는데요. 이 가운데 경험론이란 어떤 것인지 

그 어원과 철학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경험론의 어원 

 경험론에서는 두 가지의 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에서는 "겅험"이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는데요. 

 이것은 라틴어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또한 그리스, 로마에서 활용으로부터 나왔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런의견들에 비추어 보면 설명과는 상반되고 실용적으로 경험했던 것으로부터 나왔다는 것들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2. 경험론과 철학원칙

 1) 영국의경험론

   영국의 경험론은 그 당시에 사용하였던 용어는 아닙니다. 17세기 초에 근대철학, 근대과학이 생기면서 그곳에서 

파생되었던 용어입니다. 이 용어는 경험론을 처음 창시했던 프랜시스베이컨과 합리론을 처음 창시했던 르네데카르트

사이에서 생긴 차이점을 묘사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그다음세대인 토머스홉스, 바뤼흐스피노자는 

각자 경험론자, 합리론자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조지버클리, 데이비드흄, 존로크 등 18세기에 계몽주의의 시대에 

경험론을 주로 했던 주창자였으며, 존로크가 경험론의 입장을 일반적으로 집대성하였고 이것을 강조한 최초의 

인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2) 합리론의 응답

 17세기 초중기에 대륙의 합리론 응답으로, 존로크는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지식들은 오직 아포스테리오리하다며 

 경험으로부터 기반을 둔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로크의 견해는 인간 안에 있는 마음이 감각적인 인상으로 파생되고 

그 경험이 쓰이며 백지라고 하는 가정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또한 우리가 가진 관념은 반영, 감각 등 두 가지의

원천이 있는데요. 두 가지의 구별을 복합적인 관념, 단순한 관념등에서 만들어집니다. 

 전자에 대해서는 분석할 수가 없으며 종 된 성질, 주된 성질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주된 성질에 대해서는 객체에 

필요하며, 특별한 주된 성질 없이는 객체가 그것일 수는 없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수박은 원자론적 구조가 가진

배열을 통해 수박이 됩니다. 하지만 수박이 가진 구조가 달라진다면, 그것을 더 이상 수박이라 부를 수는 없습니다. 

종 된 성질에 대해 주된 성질로부터 인식되는 정보입니다. 수박은 다양한 크기, 색깔로 인식할 수는 있지만 여전히 

그것은 수박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된 성질에 대해 객체가 무엇인지 결정하게 되고 종 된 성질은 

그것을 정의하게 됩니다. 

  3) 주관적 관념론

  아일랜드의 주교인 조지버클리는 로크가 펼친 견해가 무신론으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로크의 견해에 대한 응답으로 사물이란 인식하게 된 결과로써 오직 존재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버클리가 펼친 경험론은 그 이후 주관적인 관념론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4) 회의주의

  스코틀랜드 출신 철학자인 데이비드흄은 우리의 인식 밖에 있는 실체를 인정했던 로크의 비판에 대답하며 

경험론을 새롭게 이동시켰는데, 이것이 회의주의입니다. 흄은 모든 지식이 감각적 경험으로부터 유래한다는 

견해를 유지하였고, 이 견해가 일반 철학자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기는 힘들다는 사실도 인정했습니다. 

 흄은 로크의 논증에 대해 개연적인 것, 논증적인 것으로 구분하였는데요. 논증에는 증거와 검증된 것을, 개연적인 것들도

포함하여 나누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흄은 인간이 가진 모든 지식에 대해 관념의 관계이며, 이것은 사실의 문제이기도 하다며 두 가지의 범주로 해석하였습니다. 논리학적인 전제와 수학적인 전제는 첫 번째 예시로 들었으며, 세계를 향한 우연히 이루어진 관찰은 두 번째 예로 들었습니다. 두 번째 예시를 보통 해가 동쪽에서 뜬다 이 같은 논리를 말합니다. 사람들이 가진 모든 관념들은 인상으로부터 파생

된다고 합니다. 흄은 인상이란 우리가 보통 감각이라고 일컫는 것과 아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런 인상들을 세세히 기억하고 상상하게 되는 것이 관념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관념은 감각이 가진 희미한

복제로서, 모든 지식과 자연들이 가진 세계가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믿음까지도 이성으로서 성립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진 믿음들은 축적된 감각적 경험 덕분에 발전되었으며, 우리 몸에

축적된 습관이 내놓은 결과라는 주장도 함께 펼쳤습니다. 

 

 3. 경험론 이론

 경험론이란 철학에서 시작된 감각이 그 경험을 통하여 얻은 증거들, 그 증거들로부터 파생된 지식을 강조하게 되는 

이론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합리주의라고 일컫는 인식의 원천을 오로지 이성을 통해서만 추구하게 되는 것들과는 큰 대립이 

있습니다. 경험론에서는 인식론이라고 알려진 인간이 가진 지식, 그것과 관련된 학문가운데 가장 널리 퍼지게 된 관점

이기도 합니다. 경험론에서 관념이 생긴 형성과정, 생득관념, 관습 이런 것보다 증거와 경험, 감각이 가진 지각에 대해 

특히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 같은 맥락에서는 과학철학이 가진 경험론이 있습니다. 과학철학의 증거는 과학적인 지식과 실험에 토대를 두고 

관점들을 강조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해 모든 가설과 이론들이 연역적 추론, 계시, 직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계에서 

생기는 기존관찰에 반하며 검증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요. 이런 내용은 과학적 방법에 기초가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이 가진 힘이란 완전하게 방법론적이며 실증적인 학문으로서 현대사회와 근대사회를 통틀어 빠질 수 없이 

중요한 학문이며 앞으로도 큰 발전이 필요한 학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