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학에서는 수사학에 대해 빼놓을 수 없는데요. 오늘은 인문학의 한 분야인 수사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사란 원래에는 말을 잘하는 기술로 불리었다고 하는데요. 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목적들이 추가되게 됩니다. 

 

 

 1. 수사학의 목적 

 1) 명시적인 의미를 더한 묵시적인 의미가 가진 암시

 2) 문체적 언어, 문학어, 비유적 언어의 사용

 3) 동의와 설득, 납득 등의 창출

 4) 직설적인 의미부터 설정하고 이를 추리함

 5) 저자나 연사의 의도를 파악하고 이 행위에 대하여 이유 등을 찾음

 

넬슨 등은 언어학, 역사학, 문학, 인류학 등이 경제학이나 정치학, 수학과 생물학등 모든 것이 

탐구가 주는 수사학이라고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탐구의 수사학은 이런 방법론에 대해 여러 문맥 속에서 

탐구활동, 또 그 안에서의 언어들과 연결시켰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탐구가 주는 수사학이란 획일적인 횡포에 

대해 부정하고, 여러 사물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강조하는 논리들과 공통점을 가지며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는 인식론을 함께 공유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2. 수사학의 세기

 많은 이들이 수사학의 세기에 대해 20세기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란밸리프는인지수사학, 사회인식수사학,

 전자수사학, 전산의거수사학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수사학을 규정하고 있었는데요. 이외에도 많은 이들이 남긴

수사학을 칭하는 말들은 다양합니다. 특히 비정초적인 세상에 대한 말이 생겨났는데요. 

 정초주의라는 것이 절대주의와 객관성에 중요성을 둔 것이라면 반정초주의는 다원주의와 상대주의에 입각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진리라는것은 모더니스트들에게는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하며 

포스트모더니스트들에게 일시 전이고 개인적인 부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3. 제문론의수사학 

 메르에르의 주장에 따르면 여러 주장이 가진 수사학에서 하나만이 감춰져 있는데, 에토스와 파토스의 관계같이

로고스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가진 관계라는 것입니다. 논쟁의 대상이 하나의 문제를 통해서 개별화되며

수사에 대하여 생겨난 문제를 주체들 사이의 교섭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수사에 대해서 문제를 통해 진정되며 

시작된다 하여 문제가 가진 중요성에 대해 강조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로운것과 옳은 것, 명예로운 것 등에 대해 말하였는데 이것들이 각각 심의형과 재판형,

그리고 아름다운 것들이 관련된다고 말합니다. 

 1) 제문적 답들 

  문제의 발상으로서 답을 찾는 것은 제문적인 답 가운데 문제들을 추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수사학에서도 그렇지만 제문적 수사학에서 크게 강조되지는 않아 보입니다. 

 수사학적인 탐구를 시도하기 전에 답에 대해 문제의 제기로 보고 있는 제문론적인 접근법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2) 언어학

 문학의 사조, 언어학의 이론 등은 새로 어떤 문제를 발견할 때 이 루어집닌다. 패러다임이 전환될 때 

하는 연구가 전부는 아닙니다. 외국어에 대하여 그 문법을 언어학요소가 아닌, 번역의 요소로 접근하는 것 똫나 

하나의 연구입니다. 

 언어학적으로는 프랑스어가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습니다. 프랑스어가 가진 문법들은 문장에 대한 설명이 많았고 

다른 언어의 이론을 잘 설명해내지는 못했습니다. 이러한 전통문법이 가진 존재에 대하여 여러모로 부정하기는 

어려운 부분입니다. 구조주의의 언어학을 넘어서게 되었고 언어학의 혁명으로 생겨난 생성언어학도 본래의 

언어능력에 따라 시작된 것입니다. 이런 문제 제기의 관점에서부터 접근하게 되면 구조주의는 언어의 차이라는 

문제를 통해 출발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3) 대안

 크로스화이트의 주장에 따르면 논증의 행위는 특정하게 된 어떤 주장의 사이에 명백해진 갈등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갈등이 없다면 논증 또한 없고 질문도 없게 되며 새롭게 이야기할 주제도 없어집니다. 갈등이란 논증의 행위에서 

선행하는 것이고 논증을 하고자 한다면 먼저 갈등에 대해 발견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불일치가 결국 발견을 낳게 된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논증 발견에 관심을 갖는 것이 또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인데요. 논증의 행위에 대해 폭력에 대비하는 대안이라는 뜻인데 이것이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있도록 많은 이들이 

다각도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4. 수사학의 재발견

 우리가 수사학에 대해 재발견한다는 의미는 학문적인 탐구분야에 수사학을 받아들이겠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학문적인 탐구에 대해 다양성과 불확실성의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뜻인데요. 메이에르는 이에 대해 

수사란 불확실한 상황과 그럴만한 상황 등등을 합리적인 문제로 보고 있습니다. 

 메이에르의 이러한 관점들이 모든 필연성과 이성, 명증성 등이 철학과 단절하겠다는 의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들은 수사학에서 지속적으로 견제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토마스쿤은 자연과학의 문학들 중 전문적인 청중들의 설득이 핵심적 인문제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새로운 국학에 대해정의하고 이것들을 널리 알리게 되는 것이 새로운 과제라는 것입니다. 

수사학적, 제문론적 발견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로서 의미가 상승된다는 것입니다. 메리에르가 말한 질문의 수사학들은 

발견의 수사학에 하나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이성적인 수사학 등 여러 가지 수삭학들이 

생겨나게 되고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면 인문학의 담론은 더욱 풍부해질 것이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